이 문서는 [[/book/concrete-math]] 3장.정수 함수 - 1.바닥과 천장을 공부한 노트입니다.

바닥(floor) 함수와 천장(celing) 함수

\[\def\ceil#1{\lceil #1 \rceil} \def\floor#1{\lfloor #1 \rfloor} \def\frfr#1{\{ #1 \}}\]
  • 두 함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.
\[\begin{align} \floor x = & \text{the greatest integer less than or equal to x } \\ & \text{x 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정수} \\ \ceil x = & \text{the least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x} \\ & \text{x 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 정수} \\ \end{align}\]

Kenneth E. Iverson introduced this notation, as well as the names "floor" and "ceiling", early in the 1960s.
'천장', '바닥'으로 알려진 이 표기법은 케네스 E. 아이버슨이 1960년대 초에 도입했다.

(수학은 물론이고)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내림/올림의 용법으로 floor/ceil을 사용하는데 그 어원이 케네스 아이버슨이었구나!

바닥 함수

흔히 사용하는 floor이다.

\[\begin{align} \floor{3.2} & = 3 \\ \floor{-3.2} & = -4 \\ \floor{3.0} & = 3 \\ \floor{e} & = 2 \\ \floor{-e} & = -3 \\ \floor{\pi} & = 3 \\ \floor{-\pi} & = -4 \\ \end{align}\]

python으로는 다음과 같다.

import math

print(math.floor(3.2))      # 3
print(math.floor(-3.2))     # -4
print(math.floor(3.0))      # 3
print(math.floor(math.e))   # 2
print(math.floor(-math.e))  # -3
print(math.floor(math.pi))  # 3
print(math.floor(-math.pi)) # -4

천장 함수

흔히 사용하는 ceil이다.

\[\begin{align} \ceil{3.2} & = 4 \\ \ceil{-3.2} & = -3 \\ \ceil{3.0} & = 3 \\ \ceil{e} & = 3 \\ \ceil{-e} & = -2 \\ \ceil{\pi} & = 4 \\ \ceil{-\pi} & = -3 \\ \end{align}\]

python으로는 다음과 같다.

import math

print(math.ceil(3.2))       # 4
print(math.ceil(-3.2))      # -3
print(math.ceil(3.0))       # 3
print(math.ceil(math.e))    # 3
print(math.ceil(-math.e))   # -2
print(math.ceil(math.pi))   # 4
print(math.ceil(-math.pi))  # -3

규칙들

x 가 정수인 경우

\[\floor x = x \iff \text{x is an integer} \iff \ceil x = x\]
  • 위의 규칙은 다음을 의미한다.
    • \(\floor x = x\) 이면 x는 정수이다.
    • x가 정수이면 \(\lfloor x \rfloor = x\) 이다.
    • \(\ceil x = x\) 이면 x는 정수이다.
    • x가 정수이면 \(\ceil x = x\) 이다.

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.

  • x를 내림/올림한 결과가 x와 같다면 정수이다.
  • x가 정수이면, 내림/올림한 결과도 x이다.

이는 흔히 알려져 있는 수학적 사실로,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이 방식으로 실수 타입이 정수값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곤 한다.

다음은 cpython의 float_is_integer 함수이다. 가운데 부분을 잘 보면 x를 내림한 결과가 x와 같은지를 비교하여 True/False를 리턴하고 있다. python은 잘 모르지만 이렇게 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찾아 보았더니 나왔다.

static PyObject *
float_is_integer(PyObject *v)
{
    double x = PyFloat_AsDouble(v);
    PyObject *o;

    if (x == -1.0 && PyErr_Occurred())
        return NULL;
    if (!Py_IS_FINITE(x))
        Py_RETURN_FALSE;
    errno = 0;
    PyFPE_START_PROTECT("is_integer", return NULL)

    // floor(x)와 x를 비교해 정수인지 확인
    o = (floor(x) == x) ? Py_True : Py_False;

    PyFPE_END_PROTECT(x)
    if (errno != 0) {
        PyErr_SetFromErrno(errno == ERANGE ? PyExc_OverflowError :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yExc_ValueError);
        return NULL;
    }
    Py_INCREF(o);
    return o;
}

천장 - 바닥

\[\ceil x - \floor x = [ \text{x is not an integer} ]\]
  • 위의 규칙은 아이버슨의 관례를 사용했다.
    • 아이버슨의 관례는 [ ]안에 있는 명제가 True인 경우 1, 아니면 0을 리턴한다.
  • 즉 위의 규칙은 다음을 의미한다.
    • x가 정수이면 \(\ceil x - \floor x = 0\) 이다.
    • x가 정수가 아니면 \(\ceil x - \floor x = 1\) 이다.
import math
math.ceil(math.pi) - math.floor(math.pi)    # 1
math.ceil(3) - math.floor(3)                # 0

기본적인 부등식

\[x - 1 \lt \floor x \\ x + 1 \gt \ceil x \\ \text{위의 두 식을 조합하면}\\ x - 1 \lt \floor x \le x \le \ceil x \lt x + 1 \\\]
  • 위의 규칙은 기억해 둘 만한 부등식이다.
    • 그러나 외울 필요는 없다.
    • 조금만 생각해보면 바로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이다.

천장과 바닥의 관계는 대칭

\[\floor{-x} = - \ceil{x} \\ \ceil{-x} = - \floor{x} \\\]
  • 위의 규칙은 천장/바닥 함수의 관계를 잘 보여 준다.
import math
math.floor(-math.pi) == - math.ceil(math.pi) # True
math.ceil(-math.pi) == - math.floor(math.pi) # True

x가 정수인 경우 유용한 네 가지 규칙

  • x 가 정수인 경우 다음의 네 규칙이 성립한다.
  • floor, ceil에 익숙한 프로그래머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내용이다.
    • 설령 모르거나 헷갈리더라도 익숙한 언어로 금방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.
\[\begin{array}{cccclc} \floor x = n \iff & n & \le & x & \lt n + 1 & (a) \\ \floor x = n \iff & x-1 & \lt & n & \le x & (b) \\ \ceil x = n \iff & n-1 & \lt & x & \le n & (c) \\ \ceil x = n \iff & x & \le & n & \lt x + 1 & (d) \\ \end{array}\]

정수 항을 집어넣거나 뺄 수 있다

  • n이 정수라면, 다음이 가능하다.
\[\floor{x+n} = \floor x + n, \quad \text{integer n}.\]

다음은 \(x = \pi, \ n = 2\)인 경우이다.

import math
math.floor(math.pi + 2) == math.floor(math.pi) + 2  # True

바닥/천장 부등식

  • n이 정수이고, x가 실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.
\[\begin{array}{cccclc} x \lt n \iff & \floor x & \lt & n & (a) \\ n \lt x \iff & n & \lt & \ceil x & (b) \\ x \le n \iff & \ceil x & \le & n & (c) \\ n \le x \iff & n & \le & \floor x & (d) \\ \end{array}\]

분수부와 정수부

실수 \(x\)를 분수부(fractional part)와 정수부(integer part)로 나눌 수 있다.

만약 1.78이란 숫자가 있다면 정수부와 분수부는 다음과 같다.

  • 정수부: 1
  • 분수부: 0.78

분수부는 { }로 표기하기로 하며,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
\[\frfr x = x - \floor x\]

이 식의 좌우 변을 뒤집고 항 하나를 옮겨주면 다음과 같이 된다.

\[\begin{array}{ccccc} x = & \floor x & + & \frfr x \\ & 정수부 & & 분수부 \\ \end{array}\]
  • [[/book/concrete-math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