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요

  • M&M 초콜렛을 만드는 Mars 사에서는 시간에 따라 색의 조합을 바꿔왔다.
  • 1995년에는 파란색이 추가되었다.
  • 1995년 기준으로 색 조합은 다음 표와 같다.
  1995년 이전 1995년부터
파랑(Blue)   24 %
갈색(Brown) 30 % 13 %
노랑(Yellow) 20 % 14 %
빨강(Red) 20 % 13 %
녹색(Green) 10 % 20 %
주황(Orange) 10 % 16 %
황갈색(Tan) 10 %  


한 친구가 M&M을 두 봉지 샀는데 각각 생산년도가 1994년, 1996년이었다. 생산년도를 알려주지 않고 각 봉지에서 M&M을 하나씩 꺼냈을 때 한 알은 노란색이고 한 알은 녹색이었다. 이 때 노랑 초콜렛이 1994년에 생산한 봉지에서 나왔을 확률은 얼마일까?

풀이

손으로 계산해서 풀기

문제는 녹색, 노랑 초콜렛이 각 봉지에서 하나씩 나온 상태에서 1994년 생산 봉지에서 노랑 초콜렛이 나왔을 가능성을 따지는 것이다.

이를 좀 더 명확하게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

  • 봉지1과 봉지2가 있다.
    • 가설(Hypothesis) A : 봉지1이 1994년산, 봉지2가 1996년산.
    • 가설(Hypothesis) B : 봉지1이 1996년산, 봉지2가 1994년산.
      • Hypothesis를 줄여서 H라 하자.
  • 데이터 D : 봉지1에서 노랑 초콜렛이 나왔고, 봉지2에서 녹색 초콜렛이 나왔다.
  • \(p(H_a \mid D)\)의 값을 구하여라.

[[/Bayes-theorem]]에 의해 다음과 같이 식을 꾸밀 수 있다.

\[p(H_a \mid D) = {p(H_a) \space p(D \mid H_a) \over p(D)}\]

이제 각 항목당 값을 찾아 대입하면 된다.

일단 가설 A와 가설 B의 확률은 다음 값이 될 것이다.

\[p(H_a) = \frac{1}{2} \\ p(H_b) = \frac{1}{2} \\\]

이제 D의 확률을 구하자.

D의 확률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의 확률을 구해 더하면 된다.

  • 가설 A and 데이터의 상황
  • 가설 B and 데이터의 상황
\[\begin{align} p(D) & = p(D \space and \space H_a) + p(D \space and \space H_b) \\ & = p(H_a) \times p(D \mid H_a) + p(H_b) \times p(D \mid H_b) \\ & = \frac{1}{2} \times p(D \mid H_a) + \frac{1}{2} \times p(D \mid H_b) \end{align}\]

이제 \(p(D \mid H_a)\) 와 \(p(D \mid H_b)\)의 값만 구하면 되겠다.

\[\begin{align} p(D \mid H_a) & = \frac{20}{100} \times \frac{20}{100} = \frac{40}{1000} \\ p(D \mid H_b) & = \frac{10}{100} \times \frac{14}{100} = \frac{14}{1000} \\ \end{align}\]

따라서,

\[\begin{align} p(D) & = \frac{1}{2} \times \frac{40}{1000} + \frac{1}{2} \times \frac{14}{1000} \\ & = \frac{20}{1000} + \frac{7}{1000} = \frac{27}{1000} \end{align}\]

\(p(D)\) 까지 다 구했으니 이제는 값을 대입하기만 하면 된다.

\[\begin{align} p(H_a \mid D) & = {p(H_a) \space p(D \mid H_a) \over p(D)} \\ & = {\frac{1}{2} \times \frac{40}{1000} \over \frac{27}{1000}} \\ & = {\frac{20}{1000} \over \frac{27}{1000}} \\ & = \frac{20}{27} \\ \end{align}\]

그러므로, 답은 \(\frac{20}{27}\)이 된다.

직접 코딩해 풀기

다음은 [[/Think-Bayes]]의 코드를 참고하여 자바스크립트로 풀어본 것이다.

// hypos: 가설의 배열
// 가설의 배열을 돌며 같은 경우의 수 1을 부여한다
function init(hypos) {
    const dict = {};
    hypos.forEach((h) => {
        dict[h] = 1;
    });
    return dict;
}

// 모든 가설을 돌며 mix의 dataName에 해당하는 값을 곱해 업데이트한다
function update(p, dataName) {

    Object.keys(p).forEach((hypo) => {

        // p(H_dataName) * p(D | H_dataName)
        p[hypo] = p[hypo] * likelihood(p, hypo, dataName);
    });

    return normalize(p);
}

// p(D | H_dataName)
function likelihood(dict, hypo, dataName) {
    const bag = dataName[0];
    const color = dataName[1];
    return hypotheses[hypo][bag][color];
}

// 모든 가설의 확률의 비율을 유지하며, 총합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한다
function normalize(p) {
    const values = Object.values(p);
    const sum = values.reduce((a, b) => a + b);
    const result = {};
    Object.keys(p).forEach((key) => {
        result[key] = p[key] / sum;
    });
    return result;
}

const mix94 = {
    'brown': 30,
    'yellow': 20,
    'red': 20,
    'green': 10,
    'orange': 10,
    'tan': 10,
};
const mix96 = {
    'blue': 24,
    'green': 20,
    'orange': 16,
    'yellow': 14,
    'red': 13,
    'brown': 13,
};
const hypotheses = {
    'A': {
        'bag1': mix94,
        'bag2': mix96,
    },
    'B': {
        'bag1': mix96,
        'bag2': mix94,
    }
};

function main() {

    const suite = init(['A', 'B']);

    let result;

    result = update(suite, ['bag1', 'yellow']);
    result = update(suite, ['bag2', 'green']);

    console.log(result);
}

main();

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.

$ $ node m_and_m.js
{ A: 0.7407407407407407, B: 0.25925925925925924 }

\(\frac{20}{27} \approx 0.740740...\) 이므로 손으로 계산한 값과 같다고 볼 수 있다.

  • [[/Think-Bayes]]